일상이야기

친척 촌수계산하기

청석회원 2011. 8. 9. 23:17
728x90

 

 

사회구조가 점점 핵가족화가 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친인척의 관계의 촌수를 알아보겠습니다.

촌수는 본인을 기준으로 계산을 하게 되는데 부부사이, 본인과 부모, 본인과 형제 사이의 촌수만 알고 계산을 하면 쉽게 알수가 있습니다.

 

부부사이는 촌수가 없고, 부모와 본인 사이는 1촌관계, 본인과 형제 사이는 2촌관계로 계산이 됩니다.

 

예 1) 본인과 큰아버지 또는 작은아버지의 자식들과의 촌수관계?

본인 ↔ 아버지 < 1촌 > +

아버지 ↔ 큰아버지 또는 작은아버지 <2촌> +

큰아버지 또는 작은아버지 ↔ 자식 <1촌>

 

그래서 본인과 큰아버지 또는 작은아버지의 자식과의 관계는 친사촌간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어머니 쪽도 마찬가지로 계산을 하면 외사촌간이 됩니다.

 

예2) 남동생의 자녀와 본인사이의 촌수관계는 ?

3촌 → 아버지의 형제 백부(큰아버지) 숙부(작은 아버지)와 같습니다.

 

즉, 그들이 본인이 결혼여부에 따라 큰아버지 또는 삼촌이라고 부르고.

어머니의 오빠 또는 남동생에게는 외삼촌으로 부르겠죠.

 

고모(아버지의 누나 또는 여동생)의 자식들과는 고종4촌

이모(어머니의 자매)의 자식들과는 이종사촌

어머니의 오빠 또는 동생의 자식과는 외4촌

아버지 형제들과는 친4촌

 

즉, 가까운 순서대로 친/고종/외/이종 4촌을 통털어 종형제라고 합니다.

 

 

 

예 3) 종형제의 자녀와 나' 사이의 촌수는?

 

종형제와 4촌이므로 5촌이 됩니다. (아버지의 사촌 형제를 당숙(당숙 아저씨)이라고 부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