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형태의 문자를 쓰고자 할 때 >
- mt 명령(다중행 문자) 이용시 -
1. mt’ 명령 실행
2. 마우스로 문자가 입력될 사각범위 지정
3. ‘20th^ Century, 50mm2^, 100m3^’ 입력
4. 마우스로 지수형태 문자로 바꿀 문자와 ^ 까지 드래그한다. (예; th^, 2^, 3^)
5. 블록이 설정이 되면 자동으로 스택(b/a의 분수형태의 아이콘)이 활성화 된다.
6. 이 때 스택을 클릭하면 문자가 윗첨자로 바뀐다.
(만약 "^" 를 빼고 지수문자만 쓰고 블럭설정 후 X제곱의 문자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0지수 문자(윗첨자)로 바뀐다.)
(3.에서 '^'를 문자 앞에 쓰면 아래첨자로 써진다)
- dt 명령(단일행 문자) 이용시 -
단일행 문자 이용 시에는 제한된 문자에 한해서 가능하며 이 또한 제한된 폰트에서만 가능하다.
1. ‘dt’ 명령 실행
2. 현재 문자 스타일: "Standard" 문자 높이: 2.5000 주석: No
3. 문자의 시작점 지정 또는 [자리맞추기(J)/스타일(S)]: 마우스로 지정
4. 높이 지정 <2.5000>: 엔터
5. 회전 각도 지정 <0>: 엔터
6. ‘50mm\U+00B2, 100m\U+00B3’를 입력하고 엔터키로 마무리한다. (키보드에 따라 \는 ₩로 입력. ¥표시로 나타나기도함)
(만약에 위와 같이 입력을 하고 엔터키로 마무리를 했는데도 표시가 되지 않는다면 글자체를 바꾼다.)
(또는 6번대신 "50"을 쓰고 한글 "ㄹ"과 "한자"키를 차례로 누르면 나타나는 #9의 "제곱m"를 지정하면 입력이 된다.)
< 도움이 되셨으면 "♡"를 꾹 눌러 주세요. 관심도를 체크하여 추가 작업에 참고하겠습니다. >
'AutoCAD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toCAD에서의 인쇄(프린트) 방법 (0) | 2013.05.28 |
---|---|
< 단일 또는 다중 복사로의 변환방법 > (0) | 2012.09.02 |
스플라인 분해하기 (0) | 2012.02.06 |
도면이 열리지를 않을 때 (0) | 2012.02.03 |
AutoCAD에서의 확장자명 *.bak, *.sv$, *.ac$ 파일이란? (0) | 2012.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