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TC)이야기

CAT 2급 자격시험 TIP

청석회원 2019. 12. 24. 14:18
728x90

※ CAT2급 대비 동영상 강의가 시작 되었습니다. 참고하세요.

                    CAT2급 자격시험 동영상 강의 #1 (tistory.com) 

 

 

< CAT 2급 자격시험 Tip >

 

※ 시험중 “Ctrl+S(저장하기)”를 수시로 눌러 DATA를 저장하여 만약을 대비를 합니다.

 

1. 중심선 긋는 방법 : Lengthen[길이조정:LEN] 명령 활용

 1) 원 또는 대칭물체를 먼저 그린다. (중심선과 대상 물체가 이미 그려졌다면 돌출된 중심선을 Trim[자르기] 명령으로 자른다 또는

      객체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그립점(파란사각점)을 다시 클릭을 통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
 2) 경계까지 중심선을 그린다.
 3) Lengthen[길이조정] 명령으로 일정하게 증분길이(옵션: de=3)로 적용하여 늘리고자 하는 객체를 계속적으로 클릭을 통해서

    돌출시킨다.

 

2. 주어진 각도로 경사선 그리는 법
 일반적으로 주어진 각도의 경사선은 동쪽 방향을 0°로 기준하여 주어진 각도를 계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경사선의 각도 계산의 실수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런 계산실수를 없애기 위해 “RO[회전]”명령의 옵션 “C[복사]”을 활용하면 주어진 각도를 그대로 사용을 함으로써 안전하게 그릴 수가 있다.

 

3. 객체의 특성을 바꿔야 하는 경우 MA[특성일치]명령을 최대한 활용한다.

 

4. 도면의 검토 내용 및 방법

 

   1) 도면층의 이름 작성
       도면층의 이름을 작성시 통상적으로 쓰는 방법을 써서는 않된다. 물론 도면층의 이름은
       규정이 되어 있지는 않지만 CAT 시험에서는 작업방법을 평가하고자 하는 사항이므로
       필히 제시 된대로 똑같이 작성이 되어야만 한다.

     ☞ 해결방법 : 제시된 도면에서 도면층의 이름이 영문이면 영어로 똑같이 작성을 한다.

 

   2) 도면층의 정확한 적용
       시험을 보다 보면 긴장을 하고 시험에 응시를 하기 때문에 쉽게 실수를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도면층의 적용이다. 평가시 감점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유의 해야만 한다.

    ☞ 해결방법 : 만들었던 도면층을 모두 끈 상태에서 하나의 도면층만 켜기, 끄기로 변경하면서  
                 문제 도면에 맞춰 비교해 본다.

 

 3) 객체의 누락 확인방법 (모형공간)
      제시된 도면에서의 작업도면의 객체 누락은 합격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절대로
      누락을 시켜서는 않된다.
      따라서 완성된 도면 파일을 제출 전에 필히 누락이 된 객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 확인하는 것이 좋다.

   ☞ 해결방법 : 만들었던 도면층을 모두 끈 상태에서 하나의 도면층만 켜기 또는 끄기로 변경하면
                 서 제시된 도면에 맞춰 비교해 본다.

 

 4) 선의 종류가 서로 다른 객체가 겹쳐진 경우의 우선 순위
        선의 종류가 서로 다른 객체가 겹쳐진 경우에는 겹쳐진 객체중 1개만 표시가 되어야
        하는데 표시의 우선순위는 model, hidden, center, dim의 치수보조선 순으로 한다.

☞ 해결방법 : 겹쳐진 객체를 한번 선택해서 삭제 후 남은 객체를 확인하여 원하는 도면층으로 변경
              한다.

 

 5) 연결부의 돌출된 객체의 잔재
      작업시 쉽게 놓칠 수 있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연결 부위를 확대를 하지 않으면 유관으로는
      확인 할 수 없는 것으로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미량의 돌출 부분을 없애야만 한다.

    ☞ 해결방법 : 각이 진 모든 모서리 부분을 일일이 Fillet (모깍기 : F) 명령으로 옵션의
                  R(반지름)을 “0”으로 지정하고 작업을 한다.

 

 6) 선 연결부의 불량 상태의 경우
      편집시 그립(Grip)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때 가끔은 정확한 위치점을 지정하지 못하는
      경우 연결상태가 불량인 경우를 접할 수 있다.
      이부분 역시 연결 부위를 확대를 하지 않으면 유관으로는 확인 할 수 없는 것으로 정확한
      연결을 해야만 한다.

        ☞ 5)의 해결방법으로 떨어진 부분을 Fillet(모깍기 : F)명령으로 옵션의 R(반지름)을 "0"으로 지정하고

              완전히 폐곡선으로 만든다. (또는 F명령후 연결부의 두개의 선을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클릭을 해도 된다)

 

 7) 투상도의 선과 치수보조선이 겹쳐지는 경우
      ① 투상도 내부에 치수선을 부여할 때 투상도의 선과 치수보조선이 겹쳐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겹쳐진 치수보조선은 삭제를 해야 한다.
 
      ☞ 해결방법 : 치수를 부여한 후 특성창(특성 : Ctrl+1 또는 PR)을 열고 편집하고자 하는
                  치수선을 클릭하고 “선 및 화살표” → “치수보조선 1” 또는 “치수보조선 2” →
                  “끄기”를 지정하면 원하는 치수보조선만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의 치수보조선1과 치수보조선2는 치수를 부여할 때 지정되는 2점의
                   우선순위의 차례를 말한다.)
                            “치수보조선 1” → 끄기
                            “치수보조선 2” → 끄기

 

     ② 경사진 부분에 치수선을 부여할 때 기타의 선과 치수보조선이 겹쳐지는데 이때 겹쳐진
                   치수보조선이 존재할 경우 삭제를 해야 한다.

         ☞ 해결방법 : 치수선을 부여할 때 “치수정렬 치수선(정렬치수 : DAL)”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우선 “선형치수(선형치수: DLI)”을 실행하여 치수가 표시될 2점을
                      클릭하고 옵션의 “회전”을 클릭한 다음 경사된 객체의 두점을 클릭하면
                      치수선이 위치할 점과 더불어 치수보조선이 겹쳐지지 않고 기입할 수 있다.

  

 8) 지름 및 반지름의 치수 기입설정
            지름과 반지름의 치수 표시 방법은 ISO, KS 또는 각나라 마다의 표시방법이 다르다.
            임의로 지름 및 반지름의 치수를 부여하면 감점의 요인이 되므로 필히 문제도면에
            표시 방법과 똑같이 작성을 해야 한다.

         ☞ 해결방법 : 출제 문제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출제 됨.

                          blog.daum.net/maniacad/870?category=1076612

 

cf :  여기서의 옵션이란 명령을 실행 후 추가로  작업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명령행에 [       ] 안에 표기 되어 있는 단축키 입력

      또는 클릭, 또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단축메뉴에서 중간 부분에 위치한 옵션 방법을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 도움이 되셨으면 "♡"를  꾹  눌러 주세요.  관심도를 체크하여 추가 작업에 참고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