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 과 Write Block 차이점>
블록(Block)이란 현장에서 상당히 많이 활용을 하고 명령중의 하나로 도면을 작업을 하다보면 규격품이나 자기회사내에서 많이 사용을 하는 부품 등을 그리게 되는데 이때 도면작업을 할 때마다 매번 그리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객체로 이루어져 있는 객체를 하나의 객체로 만들어 미리 작업을 해서 필요할 때마다 삽입(Insert)명령을 통해 쉽게 그릴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삽입 할 때에는 척도값을 변경하여 크기를 조정 할 수도 있고 Block의 객체를 분해해서 삽입도 가능하며 Mirror명령을 동시에 적용하여 작업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AutoCAD의 명령들 중 블록(Block)과 쓰기블럭(Write Block)은 어떤차이 있는가?
Block 명령 : 이 명령은 현재 도면에서만 활용할 수 있는 명령으로 직접 만들어 사용을 합니다.
Write Block : 이 명령은 현재도면에서 뿐 만이니라 다른 도면에서도 삽입(Insert)명령을 통해서 그릴수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폴더를 만들고 블록을 쓰기블록 명령으로 만들어 모든 블록을 저장을 해놓으면 효과적으로 찾아 쓸 수가 있겠죠?
블록(Block) : 단축키; B
쓰기블럭(write Block) : 단축키; W
삽입(Insert) : 단축키; I
블록을 만들 때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은 삽입기준점과 척도값을 고려하여 기본크기를 10mm로 그리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습니다.
즉, 예로 드릴구멍을 블록으로 작업을 한다면 드릴구멍을 10mm로 구멍의 깊이를 10mm으로 작업을 해야 드릴구멍의 직경값과 깊이값을 조정을 할 수가 있겠죠?
만약 8mm 드릴구멍, 깊이12mm 로 작업한다면 삽입을 할 때 척도값을 X,Y에 각각 0.8로 하고 수정을 하기 위해서 분해 체크박스에 체크를 하고 삽입을 하면 구멍이 8mm에 깊이가 8mm로 객체가 분해되어서 삽입이 됩니다. 그런데 깊이가 12mm이므로 “stretch"명령으로 4mm를 늘려주면 되겠죠.
삽입기준점 지정은 삽입시 객체가 마우스 포인터에 붙는 지점이 되므로 어느 위치에 지정해야 하는지는 부품을 잘 이해해서 지정을 해야 할 것입니다. 드릴구멍은 구멍의 시작중심점이 좋겠죠.
- Write Block의 작업 -
1) “W" 명령 실행
2) 선택점 옆의 아이콘 클릭후 마우스로 삽입기준점 지정
3) 객체선택 옆의 이아콘 클릭 후 마우스로 Block으로 만들 객체들을 선택
4) 블록으로 저장할 경로와 파일명을 입력 후 “확인”버튼 클릭
- Insert 작업 -
1) “I" 명령 실행
2) 찾아보기 탭 클릭 후 삽입할 파일 지정 후 “열기”탭 클릭
3) “축척”란에서 X, Y값 입력, 분해체크 박스에 체크 후 “확인” 탭 클릭
4) 삽입점에 클릭
※ 축척값을 양수로 지정을 하면 당연히 객체가 확대, 축소가 되어 그려지지만 만약에 각각의 축에 음수값을 지정하면 음수값을 지정한 각 축방향으로 Mirror 명령을 동시에 적용한 상태로 그려진다.
< 도움이 되셨으면 "♡"를 꾹 눌러 주세요. 관심도를 체크하여 추가 작업에 참고하겠습니다. >
'AutoCAD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oup 과 Block의 차이점 (0) | 2009.08.22 |
---|---|
파일이 열리지 않네요 (0) | 2009.08.13 |
도면파일을 그림파일로 변환하기 (0) | 2009.08.04 |
도면크기에 따른 선의 굵기 및 문자크기 지정법 (0) | 2009.08.02 |
CAD 도면을 그릴려면....(1) (0) | 2009.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