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이야기

자동차 방전 응급상식

청석회원 2009. 7. 24. 15:55
728x90

-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시동거는 방법 -

 

배터리 방전으로 엔진시동이 불가능한 경우라면 점퍼케이블을 이용하여 다른차의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엔진의 시동을 걸수가 있는데 이때 점퍼 케이블은 보통 빨강코드가 (+)용, 검정코드가 (-) 용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모든 케이블의 극 색상표시는 (+)는 빨강, (-)는 검정으로 아시면 됩니다)

 

1. 점퍼 케이블을 아래 번호순서대로 연결합니다.

 

1) 방전된차의 배터리(+)자에 (+)용 케이블(빨강 코드)의 집게를 물립니다.

 

2) 케이블의 나머지 집게를 정상적인 차 배터리 (+)단자에 연결 합니다.

 

3) (-)용 케이블(검정코드)의 집게를 정상적인 차 배터리의 (-) 단자에 연결 합니다.

 

4) 그 코드를 방전된 차의 배터리로부터 30cm 이상 떨어진 엔진 본체(훅등)에 연결합니다.

 

※ 배터리와 배터리를 직접 연결하면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에 인화하여 폭발이 일어날 우려가 있습니다.

 

5) 방전차의 시동을 겁니다. (시동이 걸리면...)

6) 케이블은 연결시의 역순으로 분리합니다.

 

※ 시동이 걸렸어도, 약 10분 동안은 다소 엔진속도를 높여 그 장소에서 배터리를 회복시킨 후 주행을 시작하도록 합니다. (곧바로 주행을 하면 순간 전류량이 부족해 다시 꺼질 수도 있으니까요. 안전한게 좋겠죠?)

연결순서 이렇게 한번 외워보세요.

케이블을 1자로 연결한다 생각을 하고 방전차부터 (+) →(+)→(-)→본체(-)

 

도움이 되셨으면 "♡"를  꾹  눌러 주세요.  관심도를 체크하여 추가 작업에 참고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