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음기가 꺼지지 않을때 -
배터리의 마이너스극 쪽을 빼놓는다.
자동차의 배선은 전화계통, 라이트 계통, 와이퍼계통, 워셔계통으로 분리되어 있다. 라이트나 경음기에 이상이 생기면 그 계통의 커넥터나 휴즈를 제거하면 된다. 배터리는 12V로 감전은 염려 안해도 된다.
- 차가 물속에 빠졌을때 -
물이 있는곳을 지나가다 시동이 꺼져 정지했는지 아니면 차 전체가 물속에 잠겼는지에 따라 조치방법이 달라진다.
우선 물 있는곳을 지나가다 시동이 꺼졌을 경우는 보통 점화장치 부품인 배전기와 점화코일, 점화플러그, 점화플러그 배선에 물기가 묻어 전기가 정상적으로 흐르지 못하고 엔진으로 누전되어 시동이 꺼졌다고 볼 수 있다.
점화장치 부품에 묻어 있는 물기를 닦고 시동을 걸면 되는데 상태가 심각할 경우 한쪽으로 주차시킨 후 긴급 봉사반이나 정비업소에 의뢰하는 것이 좋다.
차가 물에 잠겼을 때에는 즉시 차에서 빠져 나와 견인 요청을 해야 한다.
그런데 문제는 물에 잠긴차를 곧바로 시동을 걸어도 되는지, 운행해도 되는지의 여부이다.
1) 일반적으로 보넷트를 기준으로 그 아래까지 물에 잠겼다면
에어클리너 교환 및 케이스 내부 세척과 엔진 옆 부품 특피 점화장치 부품을 세척해야 운행이 가능하다. (정비업소나 세차장까지 운행)
2) 보넷트 위까지 물에 잠겼다면
엔진내부까지 물이 침입했을 우려가 있으므로 견인차로 견인해 정비업소에서 정밀 진단을 받아야 한다.
수해지역에서 자동차가 침수되었을 경우에는 절대로 시동을 걸지 않아야 한다.
시동을 걸 경우 엔진 내부가 파손될 우려가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뒤 바퀴의 허브 베어링 그리스를 점검해 필요때 교환해주고 브레이크 드럼에 이물질이 묻었을 때에는 드럼이나 라이닝이 이상 마모를 일으키므로 분해 점검하고 라이닝을 교환해 주는 것이 좋다.
전기장치 부품과 실내 부품도 점검해 수리하거나 건조시켜 주어야 한다.
에어클리너와 엔진오일, 오일 필터등도 교환해 주어야 하며 연료탱크도 세척한후 연료를 새로이 주입해야 한다.
- 유리창에 김이 서릴 때 -
★원인
실내와 실외온도의 차이에 의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조치방법
운행중 유리창에 김이 서리면 아래와 같이 조치를 합니다.
1. 에어컨이나 히터를 켜서 김을 제거합니다.
2. 유리창을 약간 열어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면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이가 줄어 들게 되므로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비누나 샴푸를 수건에 묻혀 유리창 안쪽에 발라두면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와이퍼가 작동되지 않을때 -
와이퍼를 작동시키는 모터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면 휴즈가 끊어진 것입니다.
만일 예비용 휴즈가 없다면 담배꽁초나 비누를 앞창에다 골고루 칠합니다.
담배나 비누의 계면활성성분이 빗방울이 생기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비오는 날 사이드 미러가 잘보이지 않는다면 이 방법을 응용할 수 있다.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심보감 계성편 수록 (0) | 2009.08.23 |
---|---|
사자소학 (1) (0) | 2009.08.16 |
자동차 오버히트시 응급조치 (0) | 2009.07.25 |
자동차 방전 응급상식 (0) | 2009.07.24 |
명심보감 <존심편> (0) | 2009.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