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은선의 생략>
은선은 도면을 이해하는데 지장이 없는한 생략을 한다.
필요한 투상도의 수>
1) 3면도 : 비교적 형상이 복잡한 물체는 3면도(정면도, 평면도, 측면도)로 그린다.
2) 2면도 : 일반적으로 평면형, 원통형 등의 물체는 2면도(정면도와 평면도, 정면도와 측면도)로 그린다.
3) 1면도 : 비교적 단면이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면 1면도(정면도)만으로 표시하고 치수와 병기되는 기호를 사용하여 그린다.
<대칭형의 생략>
물체가 대칭 형상일 때에는 대칭 중신선의 한쪽을 생략 할 수 있다. 이때의 대칭 중심선은 외형선보다 약간 연장하여 그린다. (생략된 부분을 알리기 위해 연장된 양 끝부분에 두개의 일자 선을 그리기도 한다)
1) 상하 또는 좌우가 대칭인 물체는 대칭 중심선의 한 쪽을 생략한다.
2) 대칭 중심선상에 구멍 또는 홈 등이 특수한 형상으로 된 경우에는 완전히 반쪽을 생략하면
도형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중심선 밖으로 일부를 그릴 수 있다.
<평면부의 도시>
원통의 외부 또는 구멍의 내부에 만들어진 평면부에 가는실선으로 대각선을 긋는다.
<동일 구멍 및 모양의 작도>
물체내에 같은 구멍 또는 모양의 것이 연속해서 나열이 되어 있을 때에는 그 양 끝부분 또는 주요한 부분 만을 그리고 기타 부분은 중심선 또는 중심교차점의 표시로 대신한다.
또한 체인, 로우프, 코일 등은 가상선에 의하여 반복 작도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 도움이 되셨으면 "♡"를 꾹 눌러 주세요. 관심도를 체크하여 추가 작업에 참고하겠습니다. >
'도면해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수기호의 설명 (0) | 2009.08.23 |
---|---|
보조 및 국부 투상도의 위치 (0) | 2009.08.16 |
투상도의 선택과 배치(1) (0) | 2009.08.04 |
투상법의 이해(제1,3각법) (0) | 2009.08.02 |
선의 종류 및 적용법 (4) (0) | 2009.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