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 4

타원형에서 array(배열) 방법

- 타원에서 Array(배열) 시키는 방법 - Array( 배열)은 일반적으로 사각형 배열과 원형배열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은 많이 알고 있다. 이것은 익히 알고 있듯이 기준점을 기준으로 배열을 한다. 2012버전 이후에는 "Path(r경로)"배열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만약에 타원형 위에 주어진 객체를 배열을 하고자 한다면 이때는 Array 명령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타원형을 등분할 명령을 활용하여 배열을 할 수 있다. 즉 등분할 명령에는 옵션으로 블록을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열시킬 객체를 블록으로 선 작업이 이루어 져야만 할 것이다. - 작업방법 - 1. 먼저 배열시킬 객체를 블록(Block)작업을 하여 만든다. 2. 분할(Divide)명령을 실행하여 다음을 따라 작업을 한다. ..

AutoCAD 이야기 2009.10.26

사용하지 않는 LAYER와 BLOCK 삭제가 되지않을 때

- 사용하지 않는 LAYER와 BLOCK 삭제가 되지않을 때 - 사용하지 않는 LAYER와 BLOCK 삭제가 되지 않을 때는  Audit(감사), Recover(복구), PURGE(소거) 명령을 사용하여 삭제를 합니다. 만약에 해결이 않된다면 대부분의 원인이 도면에서 사용 중인 경우가 대부분일 것입니다.그래도 해결이 않된다면  모든 객체를 복사 한 후 새도면을 열어 붙여넣기(Copyclip 기능)를 하면 됩니다. * 모든 객체를 복사 전에 원본 도면의 영역이 정해지지 않았다면 복사에 필요한 영역(Limits)을 지정을 하고 복사를 하면 출력시 효과적인 출력물을 얻을 수 있다. (예 : Extends, Limits, Window, Display )  AutoCAD에서의 인쇄(프린트) 방법 참고

AutoCAD 이야기 2009.10.26

Block 과 Write Block 차이점

블록(Block)이란 현장에서 상당히 많이 활용을 하고 명령중의 하나로 도면을 작업을 하다보면 규격품이나 자기회사내에서 많이 사용을 하는 부품 등을 그리게 되는데 이때 도면작업을 할 때마다 매번 그리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객체로 이루어져 있는 객체를 하나의 객체로 만들어 미리 작업을 해서 필요할 때마다 삽입(Insert)명령을 통해 쉽게 그릴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삽입 할 때에는 척도값을 변경하여 크기를 조정 할 수도 있고 Block의 객체를 분해해서 삽입도 가능하며 Mirror명령을 동시에 적용하여 작업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AutoCAD의 명령들 중 블록(Block)과 쓰기블럭(Write Block)은 어떤차이 있는가? Block 명령 : 이 명령은 현재 도면에서만 활용할 수 있는 명령..

AutoCAD 이야기 2009.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