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에서 정밀하게 그려야 하는 부분 또는 칫수가 작아 도면에 잘 나타나지 않는 부분은 부분 확대를 통하여 그리게 되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확대하고자 하는 부분을 복사한 다음 "스케일" 명령을 통하여 원하는 척도값을 입력을 하여 그리게 되는데 척도값에 따라 그려진 객체에 치수를 부여를 하게되면 척도값에 따라 치수값이 변화가 됩니다.
그러나 도면 치수부여법에 따르면 비록 객체가 척도값에 따라 도면의 변화가 있다 하더라도 치수는 실제크기의 치수 그대로 입력이 되어야만 합니다.
예로 2배로 확대된 객체를 그렸다고 치수도 2배 늘어난 치수로 표기 되어서는 않된다는 것이죠.
이때 "SC" 명령을 사용하여 비례값에 의해 변화된 객체에 치수를 부여할 때에는 "dimlfac" 명령을 사용하여 주어진 비례값의 역수 값으로 변경한 다음 다시 치수명령으로 치수를 부여하면 객체의 실제치수를 쓸 수가 있습니다.
- 변수설정 방법 -
명령 : dimlfac "엔터"
DIMLFAC에 대한 새 값 입력 <1.0000>: 0.5 "엔터"
변수값 설정 후 변화 된 객체에 치수를 부여하면 됩니다.( 단, 원래의 치수 부여방법으로 돌아 갈려면 변수값을 "1"로 변경후 부여합니다)
<변수값 계산법>
축척값의 역수
.... 다시말해서 척도값을 2를 주면 2배로 확대가 되는데 치수 부여시 변수설정값은 역수값이므로 0.5(1/2)가 되겠죠.
참고로 변수값이 척도값의 역수 이므로 가능하면 변수값이 유한소수로 나오는 척도값을 적용을 해야 겠지요.
예) 2배→0.5(1/2), 4배→0.25(1/4), 5배→0.2(1/5) 등
(만약 3배로 늘린다면 역수값이 0.333333....이므로 정확한 치수가 부여되지않겠죠. 이경우는 "1/3"으로 입력을 하면 됩니다. 즉 계산하지 않고 직접 분수를 입력하면 정확한 계산이 입력됩니다. )
★ 이 변수값을 한번 적용을 하면 계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원래로 치수 부여방법으로 되돌아 갈려면
변수값을 다시 "1" 로 적용을 해야만 합니다.★
<"SC"명령에서의 옵션 "참고(Reference)"의 활용방법: 동영상>
scale(축척) 명령의 참조(R)옵션 (tistory.com)
< 도움이 되셨으면 "♡"를 꾹 눌러 주세요. 관심도를 체크하여 추가 작업에 참고하겠습니다. >
'AutoCAD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D 도면을 그릴려면....(1) (0) | 2009.07.30 |
---|---|
도면의 단위 변경 (0) | 2009.07.25 |
명령행 환경 바꾸기 (0) | 2009.07.18 |
치수입력시 분리되는 치수선 변경 방법 (0) | 2009.07.16 |
선의 크기를 조정하기 (0) | 2009.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