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도(Scale)란 척도 변수값을 통하여 어떠한 물체를 실물크기로 그리기도 하고 실물보다 작게 그리기도 하며 또한 실물보다 크게 그리기도 합니다. 이것은 물체의 형태, 정밀도, 도면의 크기에 따라 작도 방법에 따라 설계자가 척도에 맞춰 그리게 됩니다.
즉 도면의 크기에 맞게 그릴 물체를 어느 정도의 크기로 그릴 것인가를 결정하는 비례값을 말합니다.
도면의 척도는 필히 표제란에 표기되어야만 하며 만약 다품일양식 도면 즉,한 도면에 여러개의 부품이 작도가 될 때에는 많이 사용될 척도를 표제란에 기입하고 이에 반하는 물품에 대해서는 품번 옆에 척도를 표기(S : 1/2, 1/5, 2/1, 5/1.... 등)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여기서 품번이라 함은 물체를 투상법(물체를 표시하는 법)에 따라 도면에 작도를 했을 때 그 물체를 대변하여 호칭하는 임의의 번호를 말합니다. 품번은 일반적으로 그려진 투상도의 좌측 상단에 표기가 됩니다.
결론으로 도면에 그려질 척도는 표제란에 표기가 되어야만 하고 한 도면에 여러물체를 그릴 경우 서로 다른 척도를 사용했을 때 표제란에 표기한 척도에 위배가 되는 물체에 대해서만 품번 옆에 척도값을 표기합니다.
척도의 종류
1. 현척 (Full Scale) : 물체의 실제 치수와 같게 도면에 그릴 때 사용
표시 예) 1:1 또는 1/1
2. 축척 (Contraction Scale) : 물체의 크기보다 축소하여 도면에 그릴 때 사용
표시 예) 1:2, 1:2.5, 1:4, 1:5, 1:10, 1:50, 1:100.. 1/2, 1/2.5, 1/4, 1/5, 1/10, 1/50, 1/100.... 등
3. 배척 (Enlarged Scale) : 물체의 크기보다 물체의 형상을 확대하여 도면에 그릴 때 사용
표시 예) : 2:1, 5:1, 10:1, 100:1, 2/1, 5/1, 10/1, 100/1
척도의 기입법
1. 척도는 도면의 표제란에 기입을 하고, 이는 도면 전체의 투상도에 적용이 됩니다.
단, 다품일양식 도면의 경우 표제란의 척도에 위배되는 투상도는 별도로 투상도 품번 옆에 척도를 위의 표시예에 따라 표시를 합니다
2. 만약 도면의 투상도가 임의의 크기로 작도되었다면“NTS"(Not to Scale), "NS"(None Scale)
또는 ”비례척 아님“이라고 척도란에 기입을 합니다.
3. 도면에 부여되는 치수는 척도와 상관이 없이 실제치수를 기입해야만 한다. 다시말해서 척도는 투상도의 크기에 따른 것이지 치수와는 무관하다는 것입니다.
<예로 1000인 객체를 그린다면 1/10의 축척으로 그렸을 때 100으로 축소가 되는데 치수를 부여할 때에는 100을 쓰는 것이 아니라 실물치수인 1000으로 표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실물치수 입력 방법 ; "Scale"명령에 따른 칫수값 변경 (tistory.com) 참고)
cf : scale(축척) 명령의 참조(R)옵션 (tistory.com)
< 도움이 되셨으면 "♡"를 꾹 눌러 주세요. 관심도를 체크하여 추가 작업에 참고하겠습니다. >
'도면해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상도의 선택과 배치(2) (0) | 2009.08.07 |
---|---|
투상도의 선택과 배치(1) (0) | 2009.08.04 |
투상법의 이해(제1,3각법) (0) | 2009.08.02 |
선의 종류 및 적용법 (4) (0) | 2009.08.02 |
도면의 크기 (2) (0) | 2009.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