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해독 이야기

도학의 이해(1)

청석회원 2024. 7. 9. 01:48
728x90

도면(2D)으로 물체를 표현할려면 약속된 투상법을 정확히 이해를 하고 그것을 기초로 하여 작업을 해야 함에 반론을 제기하는 설계자는 없을 것이다.

 

그렇게 설계된 도면으로 금속 가공법 중에 하나인 판금(금속판을 두드리고 접고 자르는 방식으로 하는 가공작업)을 접하고자 한다면 대상 물체의 펼친 그림(전개도)을 얻을 수 있어야만 한다. 물론 요즈음은 정확한 설계 2D데이터만 있으면 자동으로 쉽게 전개도로 변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많이 접할 수는 있지만 모든 학문이 그렇듯 기초를 충분히 다져 놓아야만 그 학문에 대한 이해와 한 단계 높은 학문을 논할 수 있기에 여기서는 공업생산에 따른 판금 설계를 위한 기초 도학의 이해를 돕고져한다.

공학제도에서의 도형은 물건을 제작키 위해 작성이 되므로 표현자와 해독자와의 정확한 소통을 위해서는 공학적 표현 방법인 도형뿐만이 아니라 그에 따른 규정된 기호, 문자, , 숫자까지도 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이런 것들을 한국산업규격( Korean Standards)으로 규정을 하고 있다.      ( http://standard.go.kr  )

 

도학은 공간의 대상물을 주로 정면투상법(정투상법)으로 표현하여 평면 및 입체기하학의 그 원리를 탐구하거나 계산산출의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우수한 설계자라면 당연히 갖춰야할 기본 영역이라 말할 수 있다.

 

본 블로그에서는 도학을 익히기 위한 기본 투상법(투영법) 및 평면 및 입체기하학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지식을 연재의 형태로 게재하고자 한다.

 

투상법이란?

 

투상법의 이해(1,3각법) (tistory.com)



'도면해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직선 그리기  (0) 2024.07.19
실장(실제의 길이)구하기(1)  (0) 2024.07.17
투상도 수의 선정  (0) 2022.08.19
부분 단면법(Partial section)의 이란?  (0) 2022.07.29
단면처리 하지 않는 부품  (0) 2022.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