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법 69

외부참조(X-ref) 파일 수정 및 보호하기

외부참조 명령을 활용하는 일반적인 목적은 1. 하나의 프로젝트를 여러 설계자가 나누어 설계를 할 수가 있고, 2. 하나의 파일을 외부참조 명령을 이용하여 여러 도면에 적용을 하였을 때 외부참조 된 파일을 수정 저장을 하면 외부 참조도면을 적용을 했던 모든 도면들이 수정된 도면으로 자동으로 바뀌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AutoCAD 2002까지는 외부 참조한 도면을 수정하고자 한다면 읽기 전용 파일로 열리기 때문에 별도로 도면을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는 단점이 있지만 AutoCAD 2004이상부터는 참조된 도면을 따로 열지를 않고 직접 외부참조 된 객체를 더블클릭 후 참조이름(R)의 클릭과 확인 버튼 클릭을 통해서 수정을 할 수가 있다. 만약 외부 참조된 파일을 작업(현재도면) 중에 수정을 못..

AutoCAD 이야기 2010.04.13

문자스타일 이란?

문자스타일 이란? CAD에서도 워드프로세서의 아래아한글에서 작업을 하는 스타일과 같은 개념으로 도면 내에 쓰여지는 문자를 미리 글꼴, 문자의 크기, 문자의 유형등을 결정하여 스타일로 만들어 놓고 문자 또는 치수문자를 쓸 때 선택하여 문자입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능을 말합니다. 1. st 2. 문자스타일 대화상자에서 “신규” 버튼 클릭하고 스타일의 이름을 입력한다 3. 글꼴 및 높이(문자의크기)를 지정을 하고 적용(A) 버튼 클릭을 하면 새로운 스타일이 만들어 진다. (※ 문자스타일은 Template 도면을 만들 때 만들어 두면 효과적으로 사용을 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도면에 만들어져 있는 스타일을 "Ctrl+2"키(Designcenter)를 눌러 불러들여 사용할 수도 있다.)

AutoCAD 이야기 2010.04.03

copy와 copym 명령의 차이점

직선 위의 원을 직선 위에 등간격으로 복사를 한다고 가정을 하면 우선 직선을 "divide"명령으로 분할을 하고 분할점을 객체스냅 기능을 활용하여 "copy"명령으로 복사를 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copym" 명령은 ”divide"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옵션을 통해서 직접 복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행방법- 1. copym 명령을 실행 한다 2. 직선위에 있는 원을 선택한다. 3. 기준점 지정 (원의 중심점을 지정한다) 4. 옵션을 "Divide"를 지정한다. 5. 마우스로 직선의 끝점 지정을 한다. (직선의 길이를 기준점에서 분할할 거리를 마우스로 지정하여 거리가 자동으로 인식됨) 6. 복사할 개수 입력

AutoCAD 이야기 2010.01.15

단면법의 이해(5)

- 회전단면(Revolved Section) - 핸들이나 바퀴의 암, 리브(Rib), 훅(Hook) 등은 물체의 일부분을 투상하기 어려울 때는 축에 수직한 단면으로 절단하여 그 축에 90°로 회전을 시켜 표시 하는 단면 방법이다. 또한 훅(Hook)의 예와 같이 물체 내에 직접 그리기가 어려울 경우에는 중심축을 인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움이 되셨으면 "♡"를 꾹 눌러 주세요. 관심도를 체크하여 추가 작업에 참고하겠습니다.

단면법의 이해(3)

대칭 또는 이와 유사한 물체에서 임의의 각도에 위치한 부분을 자세히 나타내기 위해 중심을 기준으로 한쪽 면은 투상면에 평행하게 절단하고, 다른 한쪽 면은 투상면과 임의의 각도로 절단하여 투상할 수 있다. * 임의의 각도에서 절단이 되어 회전시켜 투상이 되므로 자연히 정투상 시킨 것보다는 길어지겠죠. 참고가 되셨으면 ♡를 꾹 눌러주세요. 통계를 참고하여 추가 작업방법을 올리겠습니다

단면법의 이해 (2)

단면을 나타내야 하는 부분이 평면으로 자를 수가 없으면 계단형의 면으로 자를 수가 있는데 이렇게 계단 단면의 형상으로 잘라서 투상하는 방법을 계단 단면법이라 한다. 이 단면법은 특성상 구멍 가공이 많이 되어 있는 금형(Mold)을 제작을 할 때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 단면법의 원칙 ★ 1) 수직 절단면은 단면도에 선으로 표시하지 않는다. 2) 수직 절단선은 가는 1점쇄선으로 그린다. 3) 수직으로 계단절단 되는 양끝 부분과 굴곡 부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리고 문자를 표시를 한다. 도움이 되셨으면 "♡"를 꾹 눌러 주세요. 관심도를 체크하여 추가 작업에 참고하겠습니다.

단면법의 이해 (1)

물체를 투상을 할 때 물체내부에 가공이 된 부분을 자세히 표현을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단면법을 사용하여 실선으로 표기하게 됩니다. 그 중 물체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는 부분은 전단면법 또는 반단면법을 활용하여 투상도를 작도를 합니다. 전단면법은 물체를 중심선을 기준으로 절반을 잘라서 투상을 하여 표시하는 투상법을 말합니다. 반단면법은 물체를 상하 대칭의 투상은 위쪽 부분의 1/4을 잘라서 투상하고, 좌우 대칭은 우측부분의 1/4을 잘라서 투상을 하는 투상법을 말합니다. 즉, 반쪽은 단면투상, 반쪽은 외형투상을 하여 표시하는 투상법을 말합니다. (상하 투상의 경우) ★단면법 원칙 1) 단면으로 처리 되는 부분은 중심선..

CAD 도면을 그릴려면....(1)

우리가 그림을 그린다면 그 물체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그려갑니다. 즉 입체적이라 함은 3차원적으로 그린다는 것이죠(원근감 있게). 여기서 우리가 배우고자 하는 CAD(Computer Aided Design)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그래 픽 프로그램의 하나로서 2차원(2D:선, 면 등) 또는 3차원의 방법으로 그릴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어떠한 물체를 표현을 할 때 항상 3차원(3D)으로 그린다면 물체의 형상을 쉽게 이해할 수가 있지만 숙련된 사람이 그려야 멋있고 제대로 표현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도면이라는 것도 마찬가지지요. 어떠한 제품을 만들기(표현) 위해서는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그리게 되는데 일반 그림과 같이 숙련(표현방법)이 필요하다면 누구나 도면을 작업을 할 수가..

AutoCAD 이야기 200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