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해독 이야기 84

도학의 이해(1)

도면(2D)으로 물체를 표현할려면 약속된 투상법을 정확히 이해를 하고 그것을 기초로 하여 작업을 해야 함에 반론을 제기하는 설계자는 없을 것이다. 그렇게 설계된 도면으로 금속 가공법 중에 하나인 판금(금속판을 두드리고 접고 자르는 방식으로 하는 가공작업)을 접하고자 한다면 대상 물체의 펼친 그림(전개도)을 얻을 수 있어야만 한다. 물론 요즈음은 정확한 설계 2D데이터만 있으면 자동으로 쉽게 전개도로 변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많이 접할 수는 있지만 모든 학문이 그렇듯 기초를 충분히 다져 놓아야만 그 학문에 대한 이해와 한 단계 높은 학문을 논할 수 있기에 여기서는 공업생산에 따른 판금 설계를 위한 기초 도학의 이해를 돕고져한다.공학제도에서의 도형은 물건을 제작키 위해 작성이 되므로 표현자와 해독자와의 정..

투상도 수의 선정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저면도, 배면도 등의 보충 도면도는 될수록 적게 하고 정면도로만도 표시할 수 있는 것에 대하여 는 다른 도형을 그리지 않는다. 물체의 형태에 따라 도면의 수는 가능하면 3면도 이하로 줄이는 것이 좋다. 1) 3면도 : 형상이 비교적 복잡한 물체에 대하여 3면도(정면도, 평면도, 측면도)로 도시한다. 2) 2면도 : 일반적으로 2면도만으로도 표시할 수 있는 몰체는 정면도와 평면도 또는 정면도와 측면도로 도시한다. 3) 1면도 : 일반적으로 원통형, 각주, 평판 등의 비교적 단순한 형태를 지닌 물체는 치수와 병기하는 기호를 사용하여 1면도 만 도시한다. 참고가 되셨으면 ♡를 꾹 눌러주세요. 통계를 참고하여 추가 작업방법을 올리겠습니다

부분 단면법(Partial section)의 이란?

단면은 필요한부분의 일부분만을 절단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가는실선(SPL 명령으로 작업)으로 전면을 자르지 않고 특정한 일부분만 임의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부분단면법 또는 국부 단면법이라고 한다. 1) 적용방법 ① 단면으로 나타낼 부분의 범위가 적을 때 ② 키, 나사 등과 같이 원칙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지않는 것을 나타낼 때 ③ 단면의 경계가 명확하지 못할 경우 2) 표시방법 ① 부분적인 절단부분은 가는실선(파단선)으로 표시한다. ② 파단선이 외형선과 겹쳐질 때에는 외형선을 피해서 표시한다 (그림 (b), ⓛ ) ③ 조립된 부품에 부분단면을 표시할 때에는 외형선을 이용할 수 없다. )(그림 (b), ① ) 참고가 되셨으면 ♡를 꾹 눌러주세요. 통계를 참고하여 추가 작업방법을 올리겠습니다

도면해독 동영상강의 #2

도면해독 2-1번째 동영상강의입니다. 도면해독 2-2번째 동영상강의입니다.도면해독 2-3번째 동영상강의입니다.도면해독 2-4번째 동영상강의입니다. 도면해독 2-5번째 동영상강의입니다.이번 강의의 투상법부터는 본 블로그에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어 표시되는 URL주소를 참고하시면 동영상과 함께공부를 하실 수 있습니다.투상법의 이해(제1,3각법) 투상법의 이해(제1,3각법)도면에 물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투상도(Projection)를 이해해야 한다는 것은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으며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투상도란 물체를 공간에 놓여 있다고 가정하고cadmania.tistory.com 도움이 되셨으면 "♡"를  꾹  눌러 주세요.  관심도를 체크하여 추가 작업에 참고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