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 154

scale(축척) 명령의 참조(R)옵션

scale 명령은 일반적으로 확대 및 축소 비율(척도값)을 입력하여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많이 쓰고 있습니다. 이 경우는 척도값을 알고 있을 경우에 활용을 하고 있지만 만약에 척도값을 알지를 못하고 원래의 길이와 변화될 길이만 알고 있을 때 유용한 방법일 될 것입니다. 이것은 stretch(신축) 명령과는 달리 가로, 세로 크기를 동시에 척도값만큼 변경이 가능하며 역시 원 형태의 객체도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scale(척도) 명령의 참조(R)옵션은 참조길이(원래의 길이)와 새 길이(변화될 길이)만 알고 있으면 크기 변경을 할 수가 있죠. (또는 각각의 객체 길이를 몰라도 객체만 존재하면 새길이에 맞게 크기를 변경할 수가 있습니다. F11키 기능 이용함 ..

AutoCAD 이야기 2009.10.15

주어진 면적에 맞는 사각형 및 원형 자동으로 그리는 방법

[주어진 면적의 사각형 그리는 방법]- 작업방법 -명령: REC 엔터첫 번째 구석점 지정 또는 [모따기(C)/고도(E)/모깎기(F)/두께(T)/폭(W)]: (그리고자 하는 위치에 첫 번째 지점 지정)다른 구석점 지정 또는 [영역(A)/치수(D)/회전(R)]: a 엔터(주어진 면적을 입력키 위해 옵션 a를 입력)현재 단위에 직사각형 영역 입력 : 300 엔터(주어진 면적을 입력)[길이(L)/폭(W)] 를 기준으로 직사각형 치수 계산: L 엔터 (그리고자 하는 사각형의 길이 또는 폭지정 : 여기서는 길이 L을 지정함)직사각형 길이 입력 : 10 엔터 (길이값을 10으로 하는 사각형 그릴려고 할 때)→ 그러면 자동으로 길이가 10 폭이 30인 사각형이 그려진다)   [주어진 면적의 원형을 그리는 방법] 주어진..

AutoCAD 이야기 2009.10.13

도면이 저장이 되지 않는경우

가끔은 작업 도면을 저장을 할 때 저장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열어 놓은 도면을 다시 열고 작업을 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제목표시줄에 Read only라고 표시됨 : 이 경우는 화면상의 편집은 가능하지만 저장은 되지가 않습니다) 다음의 저장 방법을 통해 저장을 할 수가 있습니다. - 저장방법 - 1. 속성 변환 도면파일에 마우스의 오른쪽을 클릭한 다음 속성을 클릭하여 읽기전용 체크박스를 해제 후 확인버튼 클릭 2, Save as (다른이름으로 저장...) 읽기전용으로 도면을 열고 메뉴바의 파일 탭에서 Save as...(다른이름으로 저장...)으로 저장 3. Copyclip 기능 이용 읽기전용 도면을 열어놓고 새도면을 만든 다음 읽기전용 도면에서 도면전..

AutoCAD 이야기 2009.10.09

단면법의 이해(3)

대칭 또는 이와 유사한 물체에서 임의의 각도에 위치한 부분을 자세히 나타내기 위해 중심을 기준으로 한쪽 면은 투상면에 평행하게 절단하고, 다른 한쪽 면은 투상면과 임의의 각도로 절단하여 투상할 수 있다. * 임의의 각도에서 절단이 되어 회전시켜 투상이 되므로 자연히 정투상 시킨 것보다는 길어지겠죠. 참고가 되셨으면 ♡를 꾹 눌러주세요. 통계를 참고하여 추가 작업방법을 올리겠습니다

슬라이드(Slide)와 스크립트(Script)

- 슬라이드(Slide)와 스크립트(Script) - 우리는 흔히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이란 용어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이 용어는 잘 알고 있듯이 청중들에게 자신의 생각이나 뜻을 정확히 전달을 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기술을 말합니다, 이러한 프레젠테이션을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Powerpoint(파워포인트)란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을 합니다 Powerpoint를 접해 본 사람이라면 잘 알겠지만 여러장의 slide를 만들어 다양한 방법으로 슬라이드 쇼를 실행해 보았으리라 생각합니다. 같은 의미로 AutoCAD에서도 현재의 화면을 슬라이드로 만들어 자동으로 슬라이드를 보여줄 수가 있습니다. 프로젝트 제안이나 전시회, 설계 업무보고 등에 사용을 합니다. 먼저 이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몇 개의 ..

AutoCAD 이야기 2009.10.02

도면 출력시 일부분 제거 방법

우리가 복사를 할 때 일부분을 나타내게 하지 않기 위해서는 그 부분에 종이를 붙여서 복사를 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런 작업을 CAD에서도 할 수가 있다. 도면을 출력을 할 때 도면층 특성관리자 대화상자에서 인쇄 탭에 있는 인쇄 아이콘의 클릭을 통하여 해당 레이어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으로 지정된 레이어 전체가 출력을 억제하게 되지만 작업자가 원하는 부분만 억제 시킬 수 있는 명령도 있다. 그 기능이 바로 “wipeout" 명령이다. 출력도면이 외부로 나가게 될 때 가끔 쓰기도 하는 이 명령은 도면 내에 마우스로 원하는 범위를 지정하여 그 부분만 출력을 억제시키는 명령이다. 이것은 지정하는 범위의 불투명한 종이를 도면 위에 덮은 다음 출력을 한다고 생각..

AutoCAD 이야기 2009.10.01

도면층 관리에서의 Off(끄기)기능과 Freeze(동결)기능의 차이점

도면층 관리에서 Off 기능과 Freeze기능은 두 기능 모두 객체들이 화면에서 사라지는 변화는 똑같이 나타난다. 그러나 분명한 차이는 Quick Select 명령으로 선택을 했을 때 Off 기능으로 설정된 레이어는 선택이 되지만 Freeze 기능으로 설정 된 레이어는 선택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레이어의 Off 설정은 화면상에 나타나지는 않지만 선택이 되기 때문에 지울 수 가 있지만(편집가능) 레이어의 Freeze 설정 역시 화면상에 나타나지 않지만 선택이 불가능 하므로 지울 수가 없다는(편집 불가능)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OFF 상태에서의 그리기 작업은 화면에 나타나지는 않지만 작업이 이루어지고 Freeze는 ..

AutoCAD 이야기 2009.09.30

도면의 해독 및 작도순서

도면해독이란 설계된 도면을 보고 설계자의 의도와 생각을 읽을 수 있게 규격화 되어 있는 표시 방법들을 읽는 방법으로서 이것이 기본적으로 갖춰져 있지 않다면 도면을 아무리 잘 그린다 하더라도 도면을 읽지를 못할 뿐만아니라 설계를 할 수가 없겠죠. 왜냐하면 설계는 다른 도면을 그대로 보고 베끼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도면을 만드는 것이니까요. 1) 과제의 조립도면의 형상을 이해한다.(투상도의 정확한 이해) 2) 과제의 부품 조립 상태를 이해하며 작동원리를 이해한다. 3) 조립된 부품을 비교하여 부품의 치수를 적용하여 규격품을 찾는다. 4) 규격품에 따른 각부품의 재질, 끼워맞춤공차, 다듬질기호 등을 정한다.( (2)를 기준으로) 준비가 되면 본격적으로 도면작도를 시작한다. < 도면작..